목록전체 글 (52)
공머씨의 블로그
뭔가 꾸준히 알아가고 공부하는것을 원래 좋아하는데 요즘에는 전력반도체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2월초부터 테슬라 관련 뉴스를 접하다가 전기자동차에 전력반도체가 들어간다는 내용을 보고 좀 더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학교 과정에서 전력반도체에 대한 내용은 배우지 않아서 지식이 전무해서 처음부터 공부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 일주일에 최소 하나정도의 글이 올라갈거 같네요 많은관심 부탁드립니다!
반도체 공정을 공부하면서 정리해둔 카테고리 입니다! 혹여나 틀린부분이나 업데이트할 부분이 있다면 출처와 함께 댓글 달아주시면 적극반영하겠습니다!

Microsoft Edge로 pdf를 열었었고, 강의자료에 메모도 엣지브라우저를 통해서 했었는데어느날 업데이트 된 이후로 pdf파일에 들어가보니메모는 다 깨져있었습니다......;;;;;;;; 그래서 임시방편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했었는데.... https://m.blog.naver.com/limsy408/222006584032 이거,,,원,,, 계속 열때마다 구버전MicrosoftEdge로고를 클릭해서 열어야 하더라구요,,,,,, 불편해서 컴퓨터 좀 만지작하다가 오잉???여기뒤져보면 되겠는데????????????처음부터 "기본 앱"이라는 설정에 들어갈 생각을 한건아닌데,,,어쩌다보니 찾게되었어요 들어가보면'파일형식별 기본값 설정'이 있습니다. 클릭합니다.시간이 좀 걸려요...열려있는 창이 많이없으면 ..

몇 가지 재미있는 회로에 대해 공부해봅니다. 3.4 Selection Circuits중에서 Multiplexer이라는것이 있습니다. Line Decoder와 Multiplexe를 조금 더 비중있게 공부합니다. Decoder에 대해 먼저 알아봅니다. Decoder는 Encoder와 하나의 pair입니다. (Encode:암호화 하다) MP3,MPEG4,JPG 와 같은것들 모두 압축파일 입니다. 원래Original정보를 다른 형태로 변환해 놓은것, (통상적으로 정보량을 압축시켜놓는것이 많습니다.) 그런 변환된 신호를 만드는 과정을 "Encoder"라고 합니다. Origine 데이터 형태로 복구하는것을 Decoder이라고 합니다. 어떤 영상을 mp4로 압축시키고 (Encoder) 영상플레이어에서 다시 mp4형태..

조합회로 설계의 과정 5가지를 공부했습니다. 1. 입력과 출력의 개수, 이름 정하기 2. 입출력의 진리표 작성 3. 최적화(K-map) 4. 회로를 구현 5. 검증(타이밍 다이어그램 등) 또 다른 예시를 소개합니다. CODE Converter라고 하는 것에 대해 알아봅니다. 문제 BCD코드 하나를 Excess-3 code로 변환하라는 것입니다. 또 의미 없는 입력들은 Don't care로 처리하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이전에 기억해야 할 개념들을 짚어보겠습니다. BCD코드는 4BIT로 표현되어있습니다. 그리고 10진수를 4BIT로 나타냅니다. Excess-3 CODE는 BCD코드에 0011(10진수 3)을 더해준 코드입니다. 이걸 어떻게 만들까.....????? 이것 또한 어떤 회로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지난 시간까지는 조합 회로를 해석하는 방법을 공부했습니다.F(x, y, z)어떻게 동작하는지 어떻게 해석하는지 이번 시간부터는 조합 회로를 설계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합니다.두 가지 주제로 구성되어있습니다.3.1 방법론3.2 예시를 가지고 공부합니다.(예제 위주로 설명) 일단 가벼운 이야기부터 합니다.조합회로의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네모 박스 안에 not OR 게이트 등등이 들어갑니다. 네모 박스 안에 들어갈 회로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나면..두 번째 단계가 중요합니다. 2번째 단계를 활용해서 최적화합니다.출력을 입력의 함수로 최적화최적화된 결과를 회로로 구현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타이밍 다이어 그램 등으로 검증합니다. Desigh Space어디에 조합 회로를 구현할 지..

저번 포스트에 있는 마지막 문제에 대한 풀이를 하고 XOR, XNOR게이트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풀이논리함수는 Maxterm형태로 주어졌습니다. 카르노 맵을 그리면 다음과 같습니다.K-MAP을 이용해서 논리함수를 POS형태로 최적화하는 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F의K-MAP을 작성하고 SOP로 최적화한 뒤 보수를 취해 POS형태를 구하는 방법2. 주어진 Maxterm의 자리에 0을 대입하고 바로POS로 최적화하는 방법 1의 방법으로 K-MAP을 작성해서 논리함수를 POS형태로 얻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2의 방법으로 K-MAP을 작성해서 논리함수를 POS형태로 얻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한 논리함수로 일단 회로를 구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NOT OR AND를 각각 NAND게이트..

조합 회로에서 공부하지 않은 부분들에 대해서 먼저 공부해보겠습니다. 초반에 NOT AND OR게이트를 공부했습니다. 실제로는 NOT AND OR게이트보다 NAND 게이트 NOR 게이트를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NAND NOR 게이트는 디지털 시스템 설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게이트입니다. 이 둘을 이용해서 랩치, 플리 플롭들을 만듭니다. 이로써 순차 회로를 이해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 외에도 Exclusive OR, Exclusive AND게이트를 공부합니다. (줄여서 XOR, XNOR) 이제부터 몇개의 포스트에 걸쳐 NAND NOR XOR XNOR 4가지 게이트의 특성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Buffer 초반에 내공논 ??에서 NOT게이트 출력쪽에 그린 동그라미를 Bubble이라고만 이야기했는데 이게 ..